삶의 무기가 되는 책을 추천합니다

오십 넘어 가난한 사람들의 공통된 생활습관

리딩타임 2023. 3. 20. 20:25
반응형

세상에 확실한 것은 딱 두 가지, 세금과 죽음뿐이라고들 한다. 하지만 전세계 내노라하는 부자들은 한 가지를 더 꼽는다. 바로 ‘조정장’이다.

 

조정장correction이란 증시가 고점에서 10% 이상 하락한 것을 말한다.

반응형

1900년 이후 조정장은 평균적으로 거의 매해 발생했다. 역사적으로 조정장의 평균 하락률은 13.5%이고 평균 지속 기간은 54일이며 조정장이 20%이상 하락하는 약세장 bear market으로 진입한 경우는 다섯 번 중 한 번에 불과하다.

주식시장은 지난 88년 동안 투자자에게 연 10%의 수익을 가져다주었고 여전히 꾸준히 상승궤도를 그리고 있지만 대부분의 평범한 투자자들은 수익을 얻지 못했다.

집단과 똑같이 행동하고 무리 속에서 안정감을 얻으려는 원초적 본능에 휩싸여 시장이 하락하는 조정장에서는 배를 버리고 반대로 시장이 활발할 때 고점에 올라선 주식을 사들였기 때문이다.

이런 본능은 우리 조상들이 매머드를 사냥할 때는 효과적이었을지 몰라도 오늘날에는 우리 삶을 잘못된 시점에 잘못된 방향으로 몰고 간다.

 

전세계가 혼란에 빠진 위기 속에서도 돈을 벌어들이고 있는 사람들은 공통적으로 '돈의 본능'을 꿰뚫고 있다.

 

"역사상 최악의 시장 상황"

 

언론은 항상 위기를 강조하지만 돈의 본능을 꿰뚫은 사람들은 언론이 이야기하는 위기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인류의 혁신은 언제나 두려움을 극복해왔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00년 동안 인류의 삶이 어떠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들은 극빈층은 꾸준히 줄어들고 있고 기대 수명은 높아지고 있으며 삶의 질은 개선되고 있다고 말해주고 있다.

미국 최고의 투자자문가로 손꼽히는 피터 멀록은 이렇게 말했다. 

 

"부자가 되려는 사람이 절대 해서는 안되는 일 한 가지는 미래에 대한 양산된 두려움에 잠식돼 마비되어 버리는 것이다."

제2차 세계대전, 베트남 전쟁, 석유파동, 닷컴 버블, 아시아 금융 위기, 9.11테러, 그리괴 최근 글로벌 팬데믹에 이르기까지 세상은 늘 휘청대지만 주식 시장이 폭락하는 경우라 할지라도 그 다음 결과는 늘 똑같다.

 

경제는 항상 앞으로 나아갈 길을 찾아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