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공간학습능력이 바람기와 관련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공간학습능력이란 말 그대로 거리감이나 부피, 위치를 계산하는 능력으로 단순하게 말하면 ‘눈썰미’와 유사하다.
미국 밴더빌트 대학이 30년 간 추적한 연구 결과, 이 능력이 뛰어날수록 과학, 기술, 공학, 수학 분야에서 탁월한 성과를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문 분야 뿐 아니라 인간관계에 있어서도 공간학습능력이 뛰어난 사람들은 상대방과의 거리 조절에 능하고 자기 자신이나 타인의 사회적 위치를 파악하는 면에서도 더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최근 연구에 따르면 바람기가 많을수록 공간학습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연구팀은 바람기가 많은 외도형 쥐일수록 뇌 시상하부에 ‘바소프레신’이란 수용체가 많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외도형 쥐에게 공간학습능력을 테스트한 결과 길 찾기 능력이 월등히 뛰어났다. 연구팀은 암컷이 위치한 곳을 잘 알아내기 위한 목적으로 외도형 쥐에게서 이런 능력이 발달한 것으로 설명했다.
남자친구나 남편이 유난히 물건 둔 장소를 잘 기억 못하거나 길을 헤메고 쩔쩔 매는 타입이라면 너무 실망하거나 답답해 하지 말자. 공간학습능력이 조금 부족할 지는 몰라도 가정에 충실할 가능성이 높다.
본 콘텐츠는 아래의 도서의 내용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습니다.
http://www.yes24.com/Product/Goods/79208821
반응형
'삶의 무기가 되는 책을 추천합니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40대가 가장 후회하는 습관 “아침에…” (0) | 2023.01.30 |
---|---|
절대 사과하지 않는 사람들의 공통 성격 (0) | 2023.01.30 |
여자들이 9배 더 많이 느낀다는 육체적 감각 (0) | 2023.01.29 |
주식 투자자 VS 도박 중독자, 뇌사진 비교했더니... (0) | 2023.01.29 |
30일 동안 빵, 과자, 컵라면만 먹던 아내의 신체 변화 (0) | 2023.01.29 |
한국 50대가 상담받는 고민 1위 (0) | 2023.01.28 |
한국서 10년 뒤면 없어질 지역 (0) | 2023.01.28 |
뻔뻔한 일본인의 결혼 문화 (0) | 2023.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