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무기가 되는 책을 추천합니다

한국사람 대부분이 "1억 줘도 싫다"고 대답한 질문

리딩타임 2023. 6. 24. 06:57
반응형

반응형

당신 앞에 버튼이 하나 있다고 상상해 보자.

당신이 버튼을 누르면 1억을 받게 되지만 당신이 제일 싫어하는 사람은 100억을 받게 된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제안을 거부한다고 답한다.

우리는 1만원을 아끼기 위해 대형마트까지 한참을 걸어갔다 오면서도

300만원이 넘는 평면TV를 살 때는 5천 원을 아끼려고 똑같은 수고를 하지 않는다. 똑같은 5천 원이 상황에 따라서 그 크기가 다르게 느껴지기 때문이다. 

지금 당장 받을 있는 10만원과 1 받을 있는 20만원을 고르라고 하면 대부분 오늘 10만원을 선택한다.

죄수가 90일의 금고형을 선고받은 뒤 89일째 되는 탈옥을 시도한 유명한 실화는 우리 인간이 얼마나 충동적이며 불합리한 선택을 반복하는지를 드러낸다.

인간의 척추는 대표적인 클루지다. 예컨대 인간의 척추가 4개의 기둥이 균등하게 교차하며 몸무게를 분산해 지탱했다면 훨씬 좋았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 몸에 하나의 기둥이 존재하는 건 그 구조가 네발짐승의 척추에서 진화했기 때문이다.

불완전하게나마 일어서서 손을 사용하는 것이 아예 일어서지 않는 것보다 나았던 것이다.

가령, 과거 에너지 축적은 생존을 위한 필수 기제였지만

현대에 와서는 다이어트를 가로막는 클루지가 되었다.

새로운 도전을 망설이거나 미루는 것도 클루지다. 과거 인류에게 미지의 환경에 도전하는 목숨을 싸움이었고

현대 인류 대부분은 새로운 도전을 꺼려한 선조의 후예들이다.

문득 느껴지는 불안감이나 부정적인 생각들도 마찬가지다. 과거에는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유용한 기제였지만

현대에 와서는 우리의 삶을 훼방놓는 클루지가 되었다.

이밖에도 우리가 그토록 힘들게 돈을 허무하게 낭비하는지

거짓된 믿음에 쉽게 빠져들고 하루 종일 TV 앞을 벗어나지 못하는지 왜 스마트폰, 인터넷, 게임에 쉽게 중독되는지

클루지를 이해하면 우리는 불완전하지만 고귀한 우리의 마음을 최대한 활용할 있을 것이다.

반응형